본문 바로가기
Economy

주식 매매 수수료 확인하는 방법

by ∴®∝㎯Ю¬ 2022. 2. 18.
반응형

주식 매매에도 세금을 내는 것을 알고 있는가? 주식을 매도할 때마다 손실 여부와 상관없는 고정 세금을 낸다. 증권거래세이다. 여기에 투자사마다 매매 수수료를 떼 간다. 즉, 주식을 매도할 때마다 세금과 함께 매매 수수료까지 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증권사별 주문 수단별로 매매 수수료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융투자협회 사이트

 

추천하는곳은 금융투자협회 사이트이다. 증권사별 주식거래 수수료와 펀드 보수 및 수수료, 펀드 수익률 등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 사이트이다. 다만 처음 이용자가 이런 메뉴를 이용하기에는 조금 불 친절한 곳이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금융투자회사공시-금융투자회사 수수료 비교-주식거래 수수료 (kofia.or.kr)

금융투자협회 - 전자공시서비스

 

금융투자협회 사이트를 추천했지만 사실 검색이 가능한곳은 금융투자협회-전자공시서비스이다. 링크를 올렸으니 해당 링크로 이동해보자. 이동하면 나오는 첫 번째 화면이다. 

 

 

상단에 메뉴에서 내가 조회할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 '금융투자 회사공시' 메뉴를 눌러보면 다양한 금융투자 관련 메뉴가 나온다. 이곳이 대부분 주식과 관련한 메뉴라고 보면 된다. 하단에 '금융투자회사 수수료 비교' 항목이 보일 것이다. 이중 주식거래 수수료를 누르면 각 투자회사별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다. 

 

주식거래 수수료의 투자회사별 비교표이다. 수수료는 비슷하지만 투자회사별 신규 고객 무료 수수료 이벤트를 진행하는 곳이 있으니 수수료를 잘 비교해보고 자신의 투자회사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수수료는 금액별로 차이를 두게 되어 있다. 금액이 커지면 수수료율은 낮아진다. 결국 1주에 1천 원 주식 1,000주를 한 번에 매도하는 것과 1주씩 1,000번 매도하는 경우 1,000번 매도가 훨씬 수수료가 많아진다. 즉, 매매 횟수가 많아지면 수수료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매도하도록 하자. 

 

참고로 주식청약을 고려하고 있다면 처음부터 여러개의 증권사의 계좌를 열어놓는 곳이 좋다. 청약주식 별로 운용하는 회사가 다르고 특히 작은 청약주식의 경우 일부 증권사에서만 가능하니 처음 신규가입 시 여러 개를 가입해 둔다면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